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39

[Linux] Bash Shell 배열 AtoZ - 추가 제거 길이 수정 Bash 기본 배열 (Array) 기본 띄어쓰기로 구분합니다. 1. 선언 //숫자 PBS=(1 2 3 4 5) //글자(공백이 있을 경우 작은 따움표, 큰 따움표) PBS=("park" 'soo') 2. 배열의 값 출력 // {} 중괄호가 중요함 ${PBS[1]} 3. 배열의 전체 값 출력 ${PBS[*]} ${PBS[@]} // 특이점 배시는 공백이 하나로 합쳐지는 성질이 있음 // echo ${PBS[@]} 와 echo "${PBS[@]}" 의 차이가 있음 후자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 4. 값 변경 PBS=(1 2 3 4 5) PBS[0]=100 5. 값 추가 PBS=(ttt) PBS[1]=mmm PBS[2]=aaa //텍스트의 공백이 있다면 큰,작은 따움표를 사용 PBS[3]="TT MM" 6. 값 .. 2021. 4. 22.
(AWS) EC2 NoteBook 설치 및 장단점 EC2에 매번 접속하기 번거롭습니다. Putty에 PPK를 넣어 아이피까지 너무 힘든데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NoteBook을 사용하여 웹페이지에서 CMD창을 열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04.10 - [클라우드/AWS] - [AWS]1강 EC2 2021.04.10 - [클라우드/AWS] - [AWS] 2강 AMI 2021.04.11 - [클라우드/AWS] - [AWS] 3강 Security Group [AWS] 3강 Security Group 2021.04.10 - [클라우드/AWS] - [AWS]1강 EC2 2021.04.10 - [클라우드/AWS] - [AWS] 2강 AMI [AWS] 2강 AMI 2021.04.10 - [클라우드/AWS] - [AWS]EC2 [AWS]EC2 EC2.. 2021. 4. 12.
[AWS] 3강 Security Group 2021.04.10 - [클라우드/AWS] - [AWS]1강 EC2 2021.04.10 - [클라우드/AWS] - [AWS] 2강 AMI [AWS] 2강 AMI 2021.04.10 - [클라우드/AWS] - [AWS]EC2 [AWS]EC2 EC2 EC2는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다. 이 서비스를 통해서 아마존이 각 세계에 구축한 데이터 센터의 서버용 컴퓨터들의 자원을 원격으로 base-on.tistory.com Security Group 줄여 SG라하며 EC2에 붙는 방화벽이다. - 트래픽이 지나갈 수 있는 Port와 Source를 설정 가능 - Deny는 불가능 -> NACL로 대체 가능 - 하나의 인스턴스에 하나 이상의 SG를 설정 가능하고 - NACL의 경우 서브넷단위 - SG는 .. 2021. 4. 11.
[AWS] 2강 AMI 2021.04.10 - [클라우드/AWS] - [AWS]EC2 [AWS]EC2 EC2 EC2는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다. 이 서비스를 통해서 아마존이 각 세계에 구축한 데이터 센터의 서버용 컴퓨터들의 자원을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아마존으 base-on.tistory.com AMI는 EC2의 베이스 이미지 입니다 VM의 스냅샷과 동일합니다. 아래와 같이 그림으로 나타냅니다. 실습 1. EC2인스턴스를 누르고 상단 작업- 이미지 탬플릿- 이미지생성 2. 이미지에 대한 내용을 기입 3. 생성 후 좌측 AMI를 눌러 이미지 생성된 것을 확인 4. 인스턴스 생성을 눌러 리스트에 내가 생성한 이미지가 보이는 지 확인 2021. 4. 10.
[AWS]1강 EC2 EC2 EC2는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다. 이 서비스를 통해서 아마존이 각 세계에 구축한 데이터 센터의 서버용 컴퓨터들의 자원을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아마존으로 부터 한 대의 컴퓨터를 임대하는 것이다. AWS가 제공하는 URL(Public DNS)를 통해 이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다. EC2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용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탄력성) 사용한만큼 지불하므로 저렴하다. 사용자가 인스턴스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다. 보안 및 네트워크 구성, 스토리지 관리 효과적이다. EC2와 관련된 용어 및 내용은 실습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1. 상단 검색착에 EC2를 검색 2 좌측 인스턴스 -인스턴스 시작 3. [1단계 ] AMI 선택 AMI 은 아마존 머신 이미.. 2021. 4. 10.
[AWS] VPC VPC (virtual Priavte Cloud)는 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입니다. 이곳에서 AWS리소스들이 생성되고 계정 생성 시 기본으로주는 VPC가 있지만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커스텀하여 사용합니다. VPC는 논리적으로 분리되어있고 IP 주소 범위와 VPC범위를 설정해야하며 서브넷이 VPC에 생성이 됩니다. 위 그림은 AWS에 VPC 안에 AZ(가용영역) 안에 서브넷 안에 EC2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며 접속 경로는 유저, 개발자로 나누어 설명을 해줍니다. 일반 유저는 VPC에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ELB(로드벨런서)의 도움을 받아 어플리케이션에 서비스에 도달합니다. 하지만 개발자는 Nat 인스턴스를 통해 해당 VPC에 접속하고 개발을 합니다. 이런한 설명을 통해 위의 사진과 같은.. 2021. 3. 29.
[AWS] 용어 - EC2는 어디에 생성되는가? AWS 생성되는 위치 AWS- 리전 - VPC - 가용영역 - 서브넷 - EC2 간단하게 예로 설명하겠습니다. 1. AWS AWS 웹페이지에서 접속합니다. AWS를 시작하려면 기본적으로 접속해야합니다. AWS에 여러 서비스들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스토리지, 네트워크, 컴퓨팅 외 모니터링, 보안관련으로 나뉘며 목적에 따라 AI, 빅데이터들의 서비스로 나뉩니다. 2. 리전 AWS는 글로벌 기업이라 그런지 전 세계에 리전이 존재합니다. 쉽게 데이터 센터라고 할 수 있으며 한국에는 서울 리전이 있습니다. (용인에 위치한다고 주워들었던거 같아요. 추가적으로 부산에도 데이터가 증설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3. VPC EC2가 처음 생성하기 위해 아이피 대역을 초기 어떻게 생성할지 관여하게 됩니다. 기본 틀 해당 vp.. 2021. 3. 27.
[AWS] 시작 (왜 퍼블릭 클라우드냐?) AWS는 컴퓨터를 빌려주는 회사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물리적인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웹페이지)로 손 쉽게 컴퓨터를 빌릴 수 있습니다. 이전 기존에 컴퓨터를 구매하려면 견적을 내고 -> 주문을 하고-> 인터넷을 설치하고 -> 사용 목적에 맞게 사용합니다. 기존 방식은 시간과 비용이 무척 많이 들며 컴퓨터 사양이 더 필요하거나 오버스펙의 컴퓨터를 사게 된다면 합리적인 소비라고 볼 수 없습니다. 해결방안 위와 같은 방식으로 시간과 비용적인 부분을 신속하고 합리적으로 할 수 없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고 해결방법으로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를 빌리자!! " 결과가 나왔습니다. 마치 리눅스의 ssh로 접속, 윈도우의 원격데스크톱으로 내가 빌린 컴퓨터에 접속하여 나의 사용 목적에 맞게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 2021. 3. 26.
[리눅스] 리눅스 대용량 파일 이동 팁! 안녕하세요. 리눅스를 내우면 scp는 꼭 배우게 되자나요. scp보다 빠른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 생각이 되고 또 시간을 절약하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 싶죠? 제가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대용량 파일을 어떻게하면 다른 서버에 빠르게 이동할 수 있을까입니다. 기본적은로 scp 명령어가 있습니다. scp [출발_파일] [목적지IP]:[포트]/[도착할 상대경로] 너무 느려요 ~~ 제가 추천하는 방식은 tar -cp [복사 디렉토리] | ssh [목적지 주소] tar xvp -C [목적지 절대경로] 아래 사진과 같이 속도는 tar+ netcat이 빠르지만 보안상 문제가 있어 추천하지 않습니다. 속도 순서는 netcat >tar+ssh>rsunc+ssh > scp 순입니다. 참고자료: linuxaria.com/art.. 2021. 2. 18.
[kubernetes] kubevirt 를 위한 vm도커 이미지 만들기 안녕하세요. kubevirt 를 사용하기 위해 이미지가 필요한데 컨테이너 이미지는 docker hub에서 가져오면 되는데 vm 이미지를 어떻게 가져오지 라는 의문을 가지게 됩니다. vm이미지 qcow2 파일을 docker image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준비물 docker, qcow2 이미지 파일 도커 설치 yum install -y docker-ce qcow2 이미지 주소 https://cloud.centos.org/centos/7/images/ 추가적으로 서버에 다운받을 wget yum install -y wget qcow2 이미지를 다운 받아줍니다. 원하는 파일에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고 [ 링크주소 복사 ] wget [붙여넣기] 해당 파일을 다운 받았고 다운받은 파일의 {PWD}를 외.. 2021. 2. 5.
[kubernetes] 모니터링 메트릭 서버 안녕하세요. kubernetes의 모니터링 중 가장 기본적인 메트릭 서버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node의 사용량, pod의 사용량을 알기 위해서는 kubectl describe node [node_name] kubectl exec -it -n namespace pod_name -- top 와 같이 하나하나 입력해서 얼마나 쓰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kubectl top를 사용하면 손 쉽게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데 우선 메트릭서버 부터 다운로드 받아보도록하죠. 메트릭서버 git 주소는 github.com/kubernetes-sigs/metrics-server kubernetes-sigs/metrics-server Cluster-wide aggregator of resource usage .. 2021. 2. 5.
[kubernetes] crio systemd 문제 한 동안 설치를 진행했고 join까지 진행하여 다 된 줄 알았는데 kubectl get po -o wide [added node name] 보니 pod들이 전부 running으로 갈 생각이 없어 보인다 파드들 전부 describe로 보니 아래와 같게 나온다. failed to create pod sandbox: rpc error: code = unknown desc = container create failed: systemd cgroup flag passed, but systemd support for managing cgroups is not available 해결방법: /var/lib/kubelet/kubeadm-flags.env 에 --cgroup-driver=systemd를 추가해본다. KUBE.. 2021. 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