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39 [AWS] EKS 설치 / 사용 - 1 주차 기술향상을 위해 EKS 스터디를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좋은 기회를 얻은 것 같습니다. ------ kubernetes 명령어 / 베어메탈로 설치한 경험은 있지만 AWS EKS는 처음이라 처음부터 제가 모르는 부분 하나씩 정리하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준비 AWS 계정(free tire) - 신규 회원가입 시 1년은 프리티어 ,IAM으로 ADMIN은 멀티폼펙터로 보안처리 후 IAM 계정 생성 권장 2018.11.16 - [클라우드/AWS] - (AWS) 계정 OTP만들기 IAM AWS Access Key(Administrator) 2023.04.26 - [클라우드/AWS] - [AWS] Access key 발급 리전 : ap-northeast-2(서울) EKSCTL ,AWSCIL 초기지식 VPC : AWS .. 2023. 4. 26. [AWS] Access key 발급 AWS 로그인 > IAM > 사용자 > 사용자리스트에 발급 받은 계정 선택 보안 자격 증명 > 엑세스 키 만들기 원하시는 유형을 선택 > 다음 엑세스키 / 비밀 엑세스 키는 메모하여 저장 2023. 4. 26. [리눅스] JAVA 1.8.0 설치 환경 : centos 7.9 yum install -y java-1.8.0-openjdk alternatives --config java 2023. 3. 17. [젠킨스] 설치 오류 Failed to start Jenkins Continuous Integration Server. 설치 시 Failed to start Jenkins Continuous Integration Server. 문구가 나타나면 Java 버전의 문제이다. 젠킨스 지원 버전은 11버전이니 이전 버전은 삭제한다. 확인 yum list | grep jdk 기존 자바 삭제 yum list installed | grep "java" # java-1.8.0-openjdk-headless.x86_64 1:1.8.0.222.b10-0.47.amzn1 @amzn-updates # java-11-amazon-corretto-devel.x86_64 1:11.0.7.10-1 installed yum remove java-1.8.0-openjdk-headless.x86_64 11버전 설치 # aws coreetto 다운로드 sud.. 2023. 3. 17. [리눅스] Jenkins 설치하기 NHN 클라우드 instance 환경 : centos7.9 스펙 : 무관 보안그룹 : 22 : 접속용 8080: 젠킨스 접속용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s://pkg.jenkins.io/redhat/jenkins.repo rpm --import https://pkg.jenkins.io/redhat/jenkins.io.key yum install -y jenkins sudo curl -L https://corretto.aws/downloads/latest/amazon-corretto-11-x64-linux-jdk.rpm -o jdk11.rpm sudo yum localinstall jdk11.rpm sudo /usr/sbin/alternatives --co.. 2023. 3. 17. [NHN Cloud] 윈도우에 NAS 마운트하기 안녕하세요. NHN Cloud를 사용하다 윈도우에 NAS를 마운트하는 방법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웹콘솔 Storage > NAS > NAS 스토리지 생성 이름 / 크기 / VPC /Subnet 기입 NHN Cloud는 윈도우에 NAS를 마운트하기 위해 별도 요청이 필요하다 ..... https://www.nhncloud.com/kr/support/inquiry 에 문의 넣기 [정보] 프로젝트 아이디 : (웹콘솔 상단 프로젝트이름 옆 "톱니바퀴") NAS 아이디 : (NAS 상세보기) NAS 경로 : (NAS 상세보기) VPC 아이디 : ( VPC 상세보기) VPC CIDR: ( VPC 상세보기) Subnet 아이디 : ( Subnet 상세보기) Subnet CIDR : ( Subnet 상세보기) 윈도우 .. 2023. 3. 3. [리눅스] 성능테스트 방법 퍼포먼스 테스트 계획 TOOL : Sysbench CPU, Memory 테스트 테스트 계획 및 Command 예제 CPU sysbench --test=cpu --cpu-max-prime=20000 --max-requests=10000 --max-time=100 --num-threads=N Memory sysbench --test=memory --memory-block-size=1K --memory-scope=global --memory-total-size=10G --max-time=100 --memory-oper=read run sysbench --test=memory --memory-block-size=1K --memory-scope=global --memory-total-size=10G --max-t.. 2023. 3. 2. [리눅스] configure: error: C++ preprocessor "/lib/cpp" fails sanity check 에러 제목과 같은 에러 발생 시 하기와 같이 처리 centos yum install gcc-c++ 2023. 2. 15. [리눅스] configure: error: no acceptable C compiler found in $PATH / make& make install 에러 centos 해당 문구는 유틸리티를 설치하는 경우 해당 에러가 발생한다. 검색해보니 gcc, c 컴파일러가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에러 해결 yum install gcc glibc glibc-common gd gd-devel 우분투도 비슷한 패치키지를 설치하면 된다. 2023. 2. 15. [리눅스] /usr/lib64/libstdc++.so.6: version `GLIBCXX_3.4.14' not found 에러 바이너리 파일 설치하기의 에러가 발생한다. mariadb 설치 시 나는 발생 /usr/lib64/libstdc++.so.6: version `GLIBCXX_3.4.14' not found (required by ) /usr/lib64/libstdc++.so.6: version `GLIBCXX_3.4.18' not found (required by ) /usr/lib64/libstdc++.so.6: version `CXXABI_1.3.5' not found (required by ) /usr/lib64/libstdc++.so.6: version `GLIBCXX_3.4.15' not found (required by ) /lib64/libc.so.6: version `GLIBC_2.16' not found .. 2023. 2. 15. [MariaDB] centos , ubuntu 설치에러 /usr/local/mysql/bin/mysqld: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aio.so.1: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Maria ,Mysql 설치 시 아래의 실패 문구가 난다면 libaio.so.1가 없다는 것이다. /usr/local/mysql/bin/mysqld: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aio.so.1: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OS별로 해당 패키지 설치 후 재 도전해보자 CentOS yum install libaio Ubuntu yum install libaio1 libaio-dev 2023. 2. 14. [리눅스] centos yum/ 우분투 apt 패키치 추출 인터넷이 되지 않는 환경에서 추출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아래의 방법을 통해 진행해보자 yum install --downloadonly --downloaddir= sudo apt-get -y install --reinstall --download-only 의존성까지 다운로드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편리하다 2023. 2. 10. (리눅스)클라우드 인스턴스 root 계정 활성화하기 [AWS, NHN Cloud] 인스턴스에 root 계정 활성화 안녕하세요. Cloud Park 입니다. 기본 인스턴스에 루트 계정으로 로그인을 불가능하지만 별도 root로그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ansible을 구성할 때 필요하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1. root 패스워드 변경하기 passwd root 2. ssh 설정하기 라인 보기 :set nu sudo vi /etc/ssh/sshd_config -- PermitRootLogin yes 3. 루트 경로에 .ssh 생성 sudo mkdir /root/.ssh 4. 인스턴스기본 계정에 인증키를 /root/.ssh로 복사 sudo cp /home/기본계정명/authorized_key /root/.ssh 5. ssh 재실행 sudo systemctl.. 2023. 2. 10. (Kubernetes) kubespray로 클러스터 구성하기 클라우드인스턴스에 kubespray로 클러스터 구성하기 kubespray는 ansible로 진행되어 아래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환경 : 클라우드 인스턴스 서버 OS: 우분투 20.04 서버 수: 4 (마스터 노드3 , 워커노드 1) 모든 서버에서 하는걸 권장 2023.02.09 - [운영체제/리눅스] - (리눅스) 클라우드인스턴스에 ssh public key 배포 (리눅스) 클라우드인스턴스에 ssh public key 배포 클라우드에서 ansible /kubespray를 사용하기 위해 ssh-keygen / ssh-copy-id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키복사가 되지 않는다. 하기의 방법을 통해 복사할 수 있다. 이전에 발생한 에러 메시지는 root@kube4:~/. blog.base-on.co.kr 2.. 2023. 2. 10. (리눅스) 클라우드인스턴스에 ssh public key 배포 클라우드에서 ansible /kubespray를 사용하기 위해 ssh-keygen / ssh-copy-id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키복사가 되지 않는다. 하기의 방법을 통해 복사할 수 있다. 이전에 발생한 에러 메시지는 root@kube4:~/.ssh# ssh-copy-id ubuntu@13.18.22.6 /usr/bin/ssh-copy-id: INFO: Source of key(s) to be installed: "/root/.ssh/id_rsa.pub" /usr/bin/ssh-copy-id: INFO: attempting to log in with the new key(s), to filter out any that are already installed /usr/bin/ssh-copy-id: IN.. 2023. 2. 9. [리눅스] tmux setw synchronize-panes 편리하게 설정 setw synchronize-panes 을 적기가 너무 번거로운 것 같아 편하게 사용하는 방법이 없을까 해서 공유드립니다. 1. tmux.conf 파일을 만들기 vi ~/.tmux.conf # 0 is too far from ` 😉 set -g base-index 1 # Automatically set window title set-window-option -g automatic-rename on set-option -g set-titles on #set -g default-terminal screen-256color set -g status-keys vi set -g history-limit 10000 setw -g mode-keys vi setw -g mode-mouse on setw -g moni.. 2023. 2. 9. [리눅스] NET::ERR_CERT_DATE_INVALID NET::ERR_CERT_DATE_INVALID 문제가 발생 해당 문제는 DNS관련 문제로 해당 DNS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DNS 문제로 발생하는 비슷한 에러는 하기와 같다. 에러 메시지 : DNS_PROBE_FINISHED_NXDOMAIN SOCKET_ERROR 2023. 2. 1. [MacOS] 파인더 현재 위치를 터미널 열기 2023.01.30 - [운영체제] - [MacOS] 터미널에서 현재 위치 파인더로 열기 [MacOS] 터미널에서 현재 위치 파인더로 열기 터미널에서 해당 경로의 디렉토리를 finder로 바로 오픈할 때 유요합니다. open . .은 현재 경로를 나타내는데 원하는 경로를 오픈하고 싶으면 . 위치에 수정하시면됩니다. 현재 디렉토리 경로 확인 blog.base-on.co.kr 파인더에서 > 서비스 > 서비스 환경설정 단축키 > 서비스 > 폴더에서 새로운 터미널 열기 - 원하는 단축키 이후 설정 "폴더에서 새로운 터미널 열기" 확인 테스트 파인더에서 디렉토리선택 후 설정한 단축키 실행 2023. 1. 30. 이전 1 2 3 4 5 6 7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