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s1 [NHN Cloud] NKS _ Kubernetes NKS 클러스터 생성과 NKS에 kubectl 명령어는 등록해보자. 기본 인스턴스와 생성 방법은 동일하며, 주의사항으론 """ NKS 클러스터 구성을 위해 10.100.0.0/16 대역과 10.254.0.0/16 대역은 내부적으로 사용 중입니다. 따라서 사용자 subnet을 이 대역과 겹치게 설정하면 NKS 클러스터가 정상 동작할 수 없습니다. 오토 스케일러 활성화하면 cluster autoscaler pod가 클러스터에 생성되고, 이후 비활성화하면 자동으로 삭제된다. """ 오토스케일러의 기능을 활성화 여부 확인하시면 3분 이내로 생성이 완료됩니다. 이후 kubectl 로 NKS 관리/운영하는 해보자/ 우선 Kubeconfig를 다운로드 받는다. 해당 yaml 파일이 통신 설정 값이고 NKS의 API서.. 2022. 10.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