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는 네크워크으로 구성된 환경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시간을 동기화 시켜주는 프로토콜입니다.
서버간의 실시간 동기화를 지원해줘 미연에 일어날 수 있는 오류를 잡아줍니다. Kubernetes를 하다가 동기화가 필요하여 찾게 되었습니다. 시간이 달라 로그를 볼 때 불편함도 있엇고 정확한 원인 파악을 하는데 방해되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개의 서버의 시간을 동기화 시켜주는 NTP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NTP는 리눅스 유닉스에도 사용할 수 있다
TCP가 아닌 UDP를 사용한다 PORT_NUM=123
netstat -anut :u는 UDP를 출력해 줍니다.
NTP시간 동기화시 즉시 시간이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타겟서버와 시간을 맞춰갑니다.
실습 (설치 -> 파일 설정 -> 연결 확인)
실습은 서버 1, 클라이언트 여러 대 (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같은 대역,저는 같은 대역으로 했어요 )
1. 설치
centos ubuntu
yum install -y ntp / apt-get install -y ntp
centos ubuntu
yum install -y ntp / apt-get install -y ntp
--------------------------------------------------------------------------------------------------------
2. 파일 설정
파일 설정은 Server, Client 둘다 /etc/ntp.conf 파일에서 하게 된다.
SERVER 설정
restrict 시작하는 부분에 이어 쓰기
restrict 192.168.23.0 mask 255.255.255.0 nomodify notrap
추가
앞부분 server로 시작하는 부분 주석처리 (#)
server time.bora.net
Client 설정
앞부분 server로 시작하는 부분 주석처리 (#)
server 192.168.23.2 prefer
3. 실행 및 연결 확인
명령어
chkconfig ntpd on //서비스 등록
/etc/init.d/ntpd start //실행
연결확인은
ntpq -p
---------------------------------------------------------------------------------------------------------------------
이번엔 간단하게 연결하는 방법을 찾아봤고 설정파일에 다양한 옵션이나 조건식이 있다.
확인하여 좋은 결과얻으시길 바랍니다.
'운영체제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iptables 명령어 2 조회/등록/설정 (1) | 2020.07.10 |
---|---|
리눅스)iptables 명령어 알아보기 (1) | 2020.06.26 |
[리눅스] 우분투에서 GPU 사용량 확인하기/ CPU수 확인하기 (0) | 2020.02.28 |
(Docker) registry volum (0) | 2020.02.18 |
(Docker) registry 대시보드 (0) | 2020.02.18 |